본문 바로가기

논문

데이터와 한의학의 만남

728x90

헬스케어 ❘ 무료 전문(full-text) ❘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의학 검사를 위한 데이터셋 구축 (mdpi.com)

 

 

이 논문은 한국 전통 의학의 검사를 위한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연구에 대해 다룹니다. 연구진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전통 한국 의학 검사(KME)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 배경 및 목적 

  • 한국의 전통 의학에서는 개개인의 체질과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진단 방법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들 진단 방법은 주로 질적 데이터에 의존하며, 이를 체계화하고 정량화한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 한국 의학의 주요 지표를 기반으로 한 정량적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연구 방법 

  • 문헌 검토 및 전문가 의견 수렴: 175개의 잠재적 지표를 도출한 후, 세 차례의 전문가 의견 수렴 과정을 통해 이를 73개의 핵심 지표로 축소하였습니다. 
  • 프로토콜 개발 및 파일럿 테스트: 첫번째 KME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프로토콜의 타당성을 평가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최종 프로토콜을 수정하였습니다. 
  • 데이터 수집: 최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6개 한의병원에서 건강한 성인 11,036명을 대상으로 4년에 걸쳐 데이터를 수집하였습니다. 

 

 

결과 

  1. 사전 검토 및 전문가 의견 수렴
    • 초기 검토를 통해 한국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는 잠재적인 핵심 지표 175개를 도출했습니다. 이들은 9개의 주요 카테고리로 분류되었으며, 이후 세 차례의 전문가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이 지표들을 73개로 축소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39개의 하위 카테고리도 22개로 축소되었습니다. 
  2. 첫 번째 KME 프로토콜의 개발 및 파일럿 테스트 
    • 첫 번째 KME 프로토콜은 핵심 지표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이 프로토콜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3개 한의병원에서 파일럿 테스트가 진행되었습니다.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프로토콜의 몇 가지 문제점을 개선하고, 최종 KME 프로토콜을 확정하게 되었습니다. 
  3. 최종 KME 프로토콜 
    • 설문지: 갈증/구강건조/물 섭취량, 소화 상태, 대변 상태, 소변 상태, 수면, 발한, 한열 패턴, 식습관, 생리 건강, 음주 습관, 흡연 습관, 운동 습관, 사상 체질 설문지, 피츠버그 수면질지수(PSQI),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 7가지 감정 설문지(CSEI). 
    • 의료 검사: 소변 화학 분석, 활성 산소, 소변 색, 체온, 피부 수분 및 지질, 설진, 타액 유량, 구취, 맥진, 신장/체중, 신체 구성, 심박 변이도, 기초 대사율, 환기율, 복부 검사, 혈압, 사상 체질 측정, 3D 신체 스캔, 자세 분석, 디지털 열화상 검사, 다중 알레르기 동시 검사(MAST). 
  4. 데이터셋 구축 
    • 최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6개의 한의병원에서 4년에 걸쳐 건강한 성인 11,036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직업, 신체적 특성, 생활 습관 등의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정보를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여성의 참여율이 70.9%로 남성보다 높았고, 대부분의 참여자는 40대였으며, 평균 신장은 163cm, 평균 체중은 63.5kg였습니다. 또한, 80.6%가 비흡연자였고, 64.7%가 음주자였습니다. 
  5. 파일럿 테스트와 최종 프로토콜의 업데이트 
    • 파일럿 테스트 이후 몇 가지 수정사항이 반영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운동 습관에 대한 항목은 국제 신체 활동 설문지(IPAQ-SF)로 대체되었고, 감정 설문지 항목은 100개에서 28개의 항목으로 축소되었습니다. 또한, 최종 프로토콜에는 활성 산소 분석 및 자세 분석 항목이 추가되었습니다.  
  6. 데이터 수집의 중요성 및 도전 과제 
    • 연구진은 건강한 성인의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전통 한국 의학에서 사용하는 진단 지표를 정량화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기록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셋은 앞으로 질병 예측이나 건강 평가에 큰 가치를 지닐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질병군에 대한 데이터 수집이 부족하여 이를 표준화된 프로토콜로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 전통 의학의 진단 프로세스를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데이터로 전환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 및 임상 적용에서 중요한 기준점이 될 것입니다. 

 

KME 프로토콜 

논문에서 다룬 '최종 KME 프로토콜'은 한국 전통 의학 검사(KME)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개발된 것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설문지, 의료 검사를 포함하여 총 36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항목은 한국 전통 의학의 주요 지표를 평가하고 정량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1. 참여자 인구통계학적 정보
    • 일반 특성: 성별, 주로 사용하는 손(오른손/왼손/양손), 직업, 교육 수준, 결혼 상태, 동거인 수, 생리 상태(여성 대상), 복용 중인 약물, 과거 병력, 알레르기 이력, 건강 검진 데이터 
  2. 설문지 항목 (총 16개)
    • 갈증/구강건조/물 섭취량: 갈증의 정도, 구강건조 정도, 물 섭취량 및 빈도 
    • 소화 상태: 식욕, 복부 팽만감, 조기 포만감, 식후 피로, 속 쓰림, 오심 등 
    • 대변 상태: 배변 횟수, 대변의 양, 색깔, 형태, 냄새, 배변 시 불편함 
    • 소변 상태: 소변 횟수, 색깔, 성상, 잔뇨감, 야간뇨, 배뇨 시 통증 
    • 수면: 알람 후 기상 시간, 기상 시 상태, 꿈으로 인한 불면증 
    • 발한: 발한량, 발한 후 느낌, 발한 부위 
    • 한열 패턴: 추위나 더위에 대한 민감성, 계절별 선호 음료, 한열 감각 
    • 식습관: 하루 식사 횟수, 식사 시간, 식사당 음식량 
    • 생리 건강: 산과 병력, 생리 패턴, 생리통, 생리혈 색깔, 피임 경험 
    • 음주 습관: 음주 여부, 음주 빈도, 음주량 
    • 흡연 습관: 흡연 여부, 흡연량, 현재 흡연 상태, 금연 기간 
    • 사상 체질 설문지: 성격, 식사, 소화, 땀, 배변, 소변, 한열 감각, 물 섭취, 수면, 증상 
    • 피츠버그 수면질지수(PSQI): 수면-각성 주기, 수면 시간, 수면 장애, 각성 사건, 수면 관련 불편감, 수면의 질 
    •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SS): 스트레스 수준 평가 
    • 7가지 감정 설문지-단축형(CSEI-S): 감정 상태 평가 
    • 국제 신체 활동 설문지 단축형(IPAQ-SF): 신체 활동의 빈도, 기간, 강도 평가 
  3. 의료 검사 항목 (총 20개)
    • 소변 화학 분석: 유로빌리노겐, 포도당, 빌리루빈, 케톤체, 소변 비중, 잠혈, pH, 소변 아질산염, 백혈구
    • 활성 산소: 활성 산소 정도
    • 소변 색: 소변 색상
    • 체온: 고막 체온 측정
    • 피부 수분 및 지질: 이마, 상완, 전완(양측)의 피부 수분 및 지질 측정
    • 설진: 혀 색깔, 혀 태, 혀의 자국, 설질의 변화
    • 타액 유량: 타액 유량 측정 (구강건조와 관련)
    • 구취: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측정
    • 맥진: 맥의 수, 속도, 강도, 모양, 깊이 평가 (양측)
    • 신장/체중: 신장, 체중, BMI(체질량지수)
    • 신체 구성: 체수분, 골격근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측정
    • 심박 변이도(HRV): 총 파워(TP), 저주파(LF), 고주파(HF), 매우 저주파(VLF), LF/HF 비율
    • 기초 대사율(RMR): 기초 대사율 측정
    • 환기율(VR): 환기율 측정
    • 복부 검사: CV4, CV12, CV14 경혈과 어깨근육의 압통역치 및 압력 깊이 평가
    • 혈압: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맥박수 (양측)
    • 사상 체질 측정: 얼굴 사진, 체형, 목소리 평가
    • 3D 신체 스캔: 신체 부피와 둘레 측정 (이마, 목, 겨드랑이, 가슴, 갈비뼈, 허리, 골반, 엉덩이 등)
    • 자세 분석: 전방 및 측면에서 본 신체의 균형 분석 (귀, 어깨, 무릎 등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 측정)
    • 디지털 열화상 검사: 전신의 평균, 표준 편차, 최소 및 최대 체온 측정
    • 다중 알레르기 동시 검사(MAST): 93가지 기본 알레르기 물질 테스트
  4. 업데이트된 항목
    • 프로토콜은 해마다 업데이트되어 새로운 항목들이 추가되거나 수정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2022년부터 생활습관 관련 질병(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에 대한 정보와 자가 건강 평가 항목이 추가되었습니다. 또한 3D 신체 스캔과 자세 분석 항목은 2023년부터 제거되었으며, 디지털 열화상 검사에는 손바닥, 손등, 발바닥의 말초 체온 측정이 추가되었습니다.
    • 이 최종 KME 프로토콜은 한국 전통 의학의 진단 및 평가 과정에서 정량화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건강한 성인의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나아가 환자의 건강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습니다. 

 

 

데이터셋 

논문에서 구축한 '정량적 데이터셋'은 전통 한국 의학 검사(KME) 프로토콜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로, 건강한 성인의 다양한 건강 지표를 정량적으로 기록한 것입니다. 이 데이터셋은 한국 전통 의학의 주요 지표를 정량화하여 체계적으로 수집한 첫 번째 데이터셋으로, 한국 전통 의학에서 주로 사용되던 질적 데이터를 양적 데이터로 전환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데이터셋의 구성
    • 인구통계학적 정보: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직업, 결혼 상태, 흡연 및 음주 습관 등.
    • 신체적 특성: 신장, 체중, BMI, 체수분, 체지방량, 골격근량 등.
    • 건강 습관 및 생활 방식: 운동 습관, 식습관, 수면 패턴, 스트레스 수준, 발한 및 한열 패턴 등.
    • 의료 검사 결과: 혈압, 심박 변이도(HRV), 기초 대사율(RMR), 소변 화학 분석 결과, 설진, 맥진, 구취 분석 등.
  2. 데이터 수집 절차
    • 데이터 수집 기간: 연구는 4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6개의 한의병원에서 데이터가 수집되었습니다.
    • 대상자: 건강한 성인 11,0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였습니다.
    • 데이터 수집 방법: 모든 참여자에게 동일한 KME 프로토콜과 표준 운영 절차(SOP)가 적용되었습니다. 각 병원에는 동일한 의료 측정 장비가 제공되었으며,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장비는 정기적으로 점검되고 검증되었습니다.
  3. 데이터셋의 주요 내용
    • 신체 측정 데이터: 예를 들어, 평균 신장은 163cm, 평균 체중은 63.5kg으로 측정되었습니다. 참여자 중 80.6%는 비흡연자였고, 64.7%는 음주자였습니다.
    • 건강 평가 데이터: 설문지와 의료 검사를 통해 다양한 건강 지표들이 수집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PSQI를 통해 수면의 질이 평가되었고, PSS를 통해 스트레스 수준이 평가되었습니다.
    • 질병 이력 및 알레르기 정보: 생활습관 관련 질병(예: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과 알레르기 이력이 포함되었습니다.
  4. 데이터셋의 활용 가능성
    • 건강 상태 평가: 건강한 성인의 표준화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자의 건강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질병 예측: 특정 지표와 질병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질병의 예측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맞춤형 치료: 사상 체질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환자별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한계점 및 고려사항
    • 질병군 데이터 부족: 이 데이터셋은 주로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수집되었기 때문에, 특정 질병을 가진 환자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합니다. 이는 질병군에 대한 데이터 수집이 추가적으로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 비연속 변수의 분석 제한: 설문지 항목들은 비연속 변수로 이루어져 있어, 이들에 대한 분석 방법과 결과에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생활습관 관련 질병의 영향: 프로젝트 중반부터 생활습관 관련 질병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초기 데이터에는 이러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결론

이 연구는 한국 전통 의학에서의 질적 데이터를 정량화하고,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프로토콜을 구축함으로써 향후 질병 예측 및 건강 평가에 큰 잠재력을 지닌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이는 전통 의학의 과학적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연구는 인체를 전인론적 관점에서 현대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한의학 진단이라 돼있지만, 결국 모든 의료의 종착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인체에서 뽑아낼 수 있는 수많은 정보를 데이터셋으로 만들어, 건강을 관리하고 예방하고 질병을 치유한다는 점에서요. 

 

위 프로토콜의 36개 항목을 일개 한의사가 현실적으로 얼마나 검사할 수 있을까요? 

또 얼마나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까요? 

그래도 위의 항목을 모두 검사한다면 지표들이 가리키는 방향은 어느정도 정확할 것입니다. 

 

아무리 의사가 데이터를 모아도 짬과 지식에서 우러나오는 예리한 판단이 치료 방향을 결정합니다. 

인체의 빅데이터화가 이러한 판단을 더 날카롭고 효율적이게 만들어주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인체라는 무수한 정보의 집약체가 쌀알 단위의 데이터로 쪼개질 수 있게 된다면... 

한의학의 전인론적 진단과 치료 방식이 재조명 받지 않을까라는 기대를 품습니다. ㅎㅎ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