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혈학

상둔피신경 포착: 허리와 엉덩이 상부에서 나타나는 저림과 통증

728x90

일상생활 중에 발생하는 허리 통증이나 엉덩이 통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그중 하나가 잘 알려지지 않은 상둔피신경 포착(Superior Cluneal Nerve Entrapment)입니다. 이 신경 포착은 주로 허리나 엉덩이 상부에서 발생하는 저림과 찌릿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때로는 좌골신경통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어 정확한 진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상둔피신경의 역할과 위치

 

상둔피신경은 요추(L1-L3)에서 분지되어 둔부(엉덩이) 상부의 피부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입니다. 이 신경은 천장관절과 후상장골극(PSIS)을 지나 엉덩이 상부로 주행하며, 근육과 근막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압박 또는 포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포착이 발생하면, 둔부와 허리 부위에 통증과 감각 이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1. 상둔피신경의 기원

상둔피신경은 L1-L3 척추 신경의 후방 가지(dorsal rami)에서 분지됩니다. 내측 상둔부 피부 신경은 L1에서, 중간 상부 둔부 피부 신경은 L2에서, 외측 상부 둔부 피부 신경은 L3에서 유래합니다. 

 

2. 주행 경로

상둔피신경은 요추 신경의 후방 가지에서 나와 허리의 근막을 통과하여, 요추와 천골의 경계를 지나게 됩니다. 신경은 주로 장요근(iliocostalis muscle)다열근(multifidus muscle)을 지나면서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의 바로 뒤에 위치하며, 엉덩이 부위로 내려옵니다.  주행 중, 상둔피신경은 천장관절 상부의 후상장골극(PSIS, Posterior Superior Iliac Spine) 부근에서 골반을 넘어 둔부 상부로 가게 됩니다. 이 신경은 엉덩이 부위의 근막(lumbodorsal fascia)을 뚫고 나오면서 장골능을 가로지르며 분포합니다. 

 

3. 분포 부위

상둔피신경은 둔부의 상부 2/3 피부 감각을 담당하며, 주로 허리에서 엉덩이까지 이어지는 경로를 따라 둔부의 상부와 중간 부위에 감각을 제공합니다. 이는 피부와 피하조직에 분포하며, 깊은 근육층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4. 신경 분지L1과 L2에서 기원한 상둔피 신경은 요추 신경의 후방 가지에서 분지돼 장흉근(The Longissimus Thoracis muscle)의 요추 섬유로 주행합니다. 

 

5. 신경 포착 가능 지점

상둔피신경은 후상장골극을 지나 근막을 뚫고 나올 때, 이 근막에 의해 압박받아 포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로 인해 둔부 상부에서 저림, 통증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특히 이 신경이 요추에서 나와 천골 부근을 넘어갈 때나 근막을 통과할 때, 압박이나 마찰로 인해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둔피신경 포착의 주요 증상

1. 둔부 상부와 허리의 통증 

상둔피신경 포착(SCN-E)는 주로 허리 하부와 엉덩이 상부에 국소적인 통증을 유발합니다. 통증은 보통 한쪽에서 나타나지만 양쪽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깊고 날카로운 통증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다리로 방사되는 통증 

일부 환자들은 통증이 엉덩이에서 허벅지 뒤쪽으로 방사된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이 증상은 좌골신경통과 유사할 수 있어 오진될 수 있습니다.

 

3. 감각 이상 및 저림 

감각 저하나 저림은 상둔피신경 포착의 특징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해당 부위의 피부가 둔감해지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예민해져 작은 자극에도 과민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4. 신경 압박 부위에 국소적인 압통 

환자의 천장관절 상부나 후상장골극(PSIS) 부위를 눌렀을 때 통증이 심화되며, 이는 상둔피신경 포착의 특징적인 증상 중 하나입니다.

 

5. 활동에 따라 악화되는 통증 

걷거나 오래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정 자세나 움직임에 따라 통증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허리와 엉덩이의 움직임이 제한되거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둔피 신경의 주행 경로와 관련된 근육의 활동 시 악화될 수 있습니다. (척추 주위 근육, 장요근, 요방형근

 

6. 증상의 지속성 

SCN-E로 인한 통증은 만성적인 형태로 지속될 수 있으며, 치료하지 않으면 장기적인 통증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상둔피신경 포착의 진단

1. 임상적 평가

상둔피신경 포착은 통증의 위치와 특징적인 증상을 통해 임상적으로 진단됩니다. 허리 하부와 둔부 상부에 국소적인 통증이 있는지 확인하고, 압통이 있는지 평가하는 것이 기본적인 진단 절차입니다​. 특히 후상장골극(PSIS) 부위를 눌렀을 때 통증이 악화되는 경우 상둔피신경 포착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2. 영상 진단

초음파 검사: 상둔피신경의 위치를 시각화하고 포착 여부를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초음파 유도하 신경 차단 주사로 통증이 줄어들면, SCN-E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MRI 및 CT 스캔: 신경이 압박되는 부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다른 원인(디스크 탈출, 좌골신경통 등)을 배제하는 데 유용합니다​. 

 

3. 신경 차단 시험

국소 마취제 주사: 신경 차단 주사를 통해 상둔피신경이 원인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취제를 상둔피신경 부위에 주사한 후 통증이 감소하면 SCN-E로 진단됩니다​. 

 


 

상둔피신경 포착의 치료

일반적으로 물리치료, 약물 치료(NSAIDs 등), 신경 차단 주사, 신경 감압술 등이 있습니다만, 이 글에서는 한의원에서 한의사가 행하는 치료 위주로 작성하겠습니다. 

 

1. 침 치료

침술은 SCN-E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는 한의학적 방법 중 하나입니다. 침술은 신경의 압박을 완화하고 염증을 줄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침술은 신경 경로를 자극해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통증 경감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요양관(GV3): 허리 통증과 연관된 부위로, 넷째 허리뼈 아래에 위치하여 허리 통증 치료에 다용됩니다. 
  • 신수(BL23): 신장의 경락에 있는 자리로, 허리와 엉덩이 부위 통증 완화에 자주 사용됩니다.
  • 기해수(BL24)대장수(BL25): 이들은 요추 주변에 위치한 혈자리로, 허리 통증을 완화하고 근육 긴장을 풀어주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추가적으로 관련 근육의 아시혈(TP)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장요근, 요방형근, 척추 기립근

 

2. 초음파 유도하 약침술

최근 대법원 판결로 초음파를 들이는 한의원이 많아졌습니다. 이에 초음파로 직접 상둔피 신경과 압통점을 찾아 그 주변에 약침 시술하는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3. 부항 치료

부항은 주변 조직의 압박으로 인한 신경 포착 증상에 효과적입니다. 포착 주변부에 음압을 걸어 해당 신경에 작용하는 높은 압력을 줄이고 혈액 순환을 촉진합니다. 

 

 

4. 한약 치료

한약 치료는 상둔피신경 포착으로 인한 통증을 해소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풍한습(風寒濕)의 개념에 따라 처방되며, 주요 약재로는 속단(Dipsacus)과 두충(Eucommia)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재들은 척추와 신경을 보호하고 염증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5. 추나 요법 및 마사지

추나 요법과 마사지는 근육의 긴장을 풀고, 신경 압박을 완화하여 SCN-E로 인한 만성 통증을 경감시키는 데 유용합니다. 주로 근막 이완 기법과 신경가동술 등으로 진행됩니다. 

 


 

결론

신경 포착증을 미리 예방하기 위해선 적절한 운동과 스트레칭, 자세 교정이 중요합니다. 허리 통증에는 주로 코어(복부) 강화 운동과 둔부 강화 운동이 중요하며 햄스트링과 척추 주위 근육의 스트레칭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앉는 자세, 서 있는 자세를 바르게 교정하고 한 자세를 너무 오래 유지하지 않도록 합니다.  근골격계 문제는 평소 관리를 잘하면 어느정도 예방할 수 있으므로 건강한 생활을 습관화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 문헌

Bogduk, N., Wilson, A. S. and Tynan, W. (1982) 'The human lumbar dorsal rami', J Anat, 134(Pt 2), pp. 383-97.
Talu, G. K., Ozyalcin, S. and Talu, U. (2000) 'Superior cluneal nerve entrapment', Reg Anesth Pain Med, 25(6), pp. 648-50.
Tubbs, R. S., Levin, M. R., Loukas, M., Potts, E. A. and Cohen-Gadol, A. A. (2010) 'Anatomy and landmarks for the superior and middle cluneal nerves: application to posterior iliac crest harvest and entrapment syndromes', J Neurosurg Spine, 13(3), pp. 356-9.

 

Maigne et al. "Entrapment neuropathy of the medial superior cluneal nerve." Spine. 1997​. 

Konno et al. "Anatomical study of middle cluneal nerve entrapment." J Pain Res. 2017​. 

Bodner et al. "Ultrasound-guided identification of superior cluneal nerve entrapment." Pain Physician. 2016​. 

Morimoto et al., "Surgical treatment of superior cluneal nerve entrapment neuropathy," Spine, 2013. 

Wanshun S, Jing L. "Treatment for injury of superior cluneal nerves by triple puncture needling with massage." J Tradit Chin Med. 2002;22(1):24–5.

Yuzhen T. "Eighty cases of injury of the superior cluneal nerve treated by electroacupuncture." J Tradit Chin Med. 2000;2(20):132–3​.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ffectiveness of Neural Mobilization Techniques in the Manage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Pain Medicine, 20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