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혈학

족궐음간경 주요 내용, 혈자리 정리

728x90

족궐음간경 유주 및 경근 

 

병증 

족대지와 족내과의 앞과 내전골이 아프며 허벅지 안쪽이 아프고 전근이 발생하고 음기를 쓰지 못하니 방로에 손상되면 발기되지 않고 한에 손상되면 쪼그라들어가며 열에 손상되면 늘어져 수축되지 않는다. 

 

 

 

시동병과 소생병 

시동병 (기병) 

허리가 아파 몸을 구부렸다 폈다 할 수가 없고, 남자는 음낭이 붓고 당기고, 여자는 소복부가 붓고, 심하면 목구멍이 마르고, 울굴. 심하면 곧 목구멍이 마르고, 얼굴에 먼지가 앉은듯 하고 빛이 없다. 

 

소생병 (혈병) 

가슴이 그득하고, 속이 메스껍고,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설사, 창자가 음낭으로 내려왔다 들어갔다 하는 산증(음낭탈장), 유뇨증, 배뇨작열통이 있다. 

 

 

 

족궐음간경 병후 및 병증 

병후 

  • 외경병후: 흉통, 요통, 흉협창만, 수족경련, 인건, 두항통 
  • 내장병후: 산기, 소복통, 황달, 구역, 매핵기, 유뇨, 소변불리, 정신실상, 현훈 

 

병증 

  • 순행부 병증: 산기, 소복창통, 유뇨, 소변불통, 흉협통, 목통 
  • 간 관련 병증: 각종 筋 병증, 眼 병증, 비뇨생식기 병증, 신지 병증 

 

 

 

족궐음간경 주요 혈위 

행간, 태충: 관격, 인기 작용에 사용 

슬관, 곡천: 슬관절통에 사용 

 

오수혈 

대돈(정목) 행간(형화) 태충(수토) 중봉(경금) 곡천(합수) 

 

원락극모혈 

태충(원혈) 여구(락혈) 중도(극혈) 기문(복모혈) 간수(배수혈) 

 

 

 


 

 

 

대돈(LR1) ★ 

 

위치 

엄지발가락, 끝마디뼈의 가쪽, 엄지발톱가쪽뿌리각에서 몸쪽으로 0.1촌 

엄지발톱의 가쪽모서리를 지나는 수직선과 발톱뿌리를 지나는 수평선이 만나는 지점 

또는 족모지 조갑근각에서 족소지측으로 0.1촌에 취하기도 함 

 

근육: 긴엄지폄근 

신경: 등쪽발가락신경 

혈관: 등쪽발가락동정맥 

침법: 직자0.1~0.2촌 / 사자 0.1~0.2촌 / 삼릉침으로 점자출혈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7분 

 

속성 

정목혈 

 

주치 

산증 치료의 요혈 

  • 간경의 정목혈로서 간허로 인한 비뇨생식기 관련 제반 병증 (간주근, 간장혈, 순퇴음입모중 환음기 저소복) 
    1. 근이완, 무력으로 인한 비뇨생식기질환을 주치 
    2. 간장혈 기능 실조로 인한 출혈성 질환에 효과 
    3. 목신(허양이봉)에 사용 (고환이 단단해지면서 감각이 둔해지는 병증 또는 병적으로 음경이 계속 발기) 
    4. 임병, 고환염, 음부소양 등 (순경취혈) 
  • 간주소설 기능실조(기혈실조)로 인한 감정, 신지 관련 제반 병증에 사용 
    • 심한 충격에 의한 불언증, 심한 신경성 정충 등 (+ 은백) 
  • 구급혈(정목혈)로서 경련성 질환에 회생혈로 이용 
    • 癎病류, 거궐 사불지인 (+ 수구) 
  • 오행침법 

 

 

 

행간(LR2) ★ 

 

위치 

발등, 첫째와 둘째발가락 사이, 발샅자리에서 몸쪽, 적백육제에서 취혈 

 

근육: 등쪽뼈사이근 

신경: 등쪽발가락신경 

혈관: 등쪽발가락동정맥 

침법: 직자 0.2~0.3촌 / 사자 0.5~1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5분 

 

속성 

형화혈 

 

주치 

  • 간경의 형화혈, 자경사혈로서 간경의 실열증을 주치 (간화를 조절할 수 있는 대표혈
    1. 비뇨생식기에 사용 (음부취, 화열로 인한 자궁출혈, 자경불조, 대하, 자궁염, 산증, 유뇨 등) 
    2. 담석산통, 늑간신경통, 소아축약 등에 사용 
    3. 유주기능실조(간울)로 인한 간화상염의 제반 병증(간울능생화)에 사용 
      • 흉협고만, 구토, 불면, 두통두훈 등에 유효 
      • 목적, 안검부종, 안검하수, 안검경련(+ 임읍), 유행성 결막염(+ 태충)에 사용 
      • 소간이기의 요혈로서 특히 감정의 폭연급시 진정안신 (억병, 정신분열증) 
  • 하지내측 염좌와 같은 국소 부위 치료에 응용 
  • 오행침법 

 

 

 

태충(LR3) 

 

위치 

발등, 첫째와 둘째 발허리뼈 사이, 두 발허리뼈의 바닥 연접부에서 먼쪽 오목한 곳으로 발등동맥이 뛰는 곳 

손가락을 행간에서부터 첫째와 둘째 발허리뼈 사이로 몸쪽으로 밀고 올라갈 때 촉지되는 오목한 곳에서 취혈 

 

근육: 긴엄지폄근, 짧은엄지폄근, 등쪽뼈사이근 

신경: 깊등쪽발가락신경 

혈관: 등쪽발허리동맥, 발등정맥활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1~1.5촌 / 용천으로 투자하기도 함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3~7분 

 

속성 

수토혈, 원혈, 사관혈 

 

주치 

  • 사관혈의 하나로서 기혈 순환 실조로 인한 제반 병증의 요혈 
    • 기혈순환불리로 인한 한열통비증 (각연무력, 근련, 하지 굴신불리) 
  • 간경의 수토혈 
    • 조리간비 작용이 있어 소화기 제반 병증, 특히 신경성 위장장애에 사용 (소화불량, 식체, 격관, 곽란 등) 
  • 간경의 원혈로서 간기 허실로 인한 모든 간 관련질환을 주치 
    1. 간기허(원기허)로 인한 소화불량성 두통에 사용 
    2. 간양상항으로 인한 고혈압(+ 곡지), 불면증, 억병, 두통 등(+ 행간) 
    3. 비뇨생식기, 부인과 질환에 유효 (자궁염, 고환염, 장산통, 요통인소복(+대돈))
    4. 일절 혈병, 출혈성 질환(혈구조절 작용이 있어 백혈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부인루하(+삼음교)) 
    5. 일절 안병 
  • 간 경맥 유주 상의 질환에 응용 (늑막염, 늑간신경통, 호흡기 질환 등) 
  • 원락배혈 

 

 

 

중봉(LR4) ★ 

 

위치 

발목앞안쪽면, 앞정강근힘줄 안쪽, 안쪽복사앞쪽의 오목한 곳 

족내과와 족외과를 족과관절 배면으로 이은 선상에서 엄지발가락을 신전시켜 긴엄지폄근힘줄을 확인한 후 아래쪽에 앞정강근힘줄을 촉지 후 요함처에 취함 

해계와 상구 중간에 취함 

 

근육: 앞정강근 

신경: 안쪽발등피부신경, 두렁신경의 안쪽종아리피부가지 

혈관: 안쪽앞복사동맥, 큰두렁정맥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0.5~1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5분 

 

속성 

경금 

 

주치 

  • 간경의 경금혈로서 금극목하지 못한 제반 질환 (+ 태충 / 사암: 간정격) 
    1. 근건완서로 인한 제반 병증 
      • 瘤疝, 소복통, 보행난잡, 요불능신에 유효 
      • 반신불수의 보조혈 
      • 만성요통, 좌골신경통에 응용 
    2. 간비불화로 인한 식달, 건구, 복창 등 소화기 질환
  • 간염, 간경화 및 이로 인한 복수 (사암: 간정격) 
  • 비뇨생식기 질환에 활용 
    1. 고환염, 방광염, 요도염 
    2. 음경통, 임병, 유정 (뜸) 
  • 족관절염좌 (+ 상구, 구허, 근위취혈) 
  • 오행침법 

 

 

 

여구(LR5) ★ 

 

위치 

종아리 앞안쪽면, 정강뼈안쪽모서리의 중앙, 안쪽복사 융기에서 몸쪽으로 5촌 

축빈과 같은 높이에서 정강뼈안쪽모서리 중앙, 무릎뼈꼭지와 안쪽복사융기를 연결하는 선에서 위쪽으로부터 2/3와 아래쪽으로부터 1/3이 되는 높이에서 취혈 

음릉천혈에서 족내과첨까지를 1척 3촌의 골도법으로 산정하여 족내과첨상 5촌으로 경골내측면 중앙의 요함처에 취함 

 

근육: 긴발가락굽힘근, 뒤정강근 

신경: 두렁신경 

혈관: 뒤정강동정맥, 큰두렁정맥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0.5~1촌 (경골 뒷면을 따라 자입) / 구간질환에는 경골 뒷면을 따라 위쪽으로 1.5~2촌 사자 

뜸법: 애주구 1~3장 / 온구 5~20분 

 

속성 

락혈 

 

주치 

  • 간장활동 증진효과가 있어 간기허로 인한 제반 간담 관련 질환에 사용 
    1. 삭喜, 기부족, 공계 
    2. 졸산, 장산통(소복통), 소복종에 유효 
    3. 제하적기여란석
  • 간경의 락혈로서 소양화와 관련한 비뇨생식기 질환 (간경 유주 부위 병변을 치료) 
    1. 성욕항진 특히 목신(허양이거)에 사용 
    2. 기능성 자궁출혈, 자궁내막염(소복종, 적백음하, 시다시소), 방광염 
    3. 질분비물결핍, 고환통 
  • 원락배혈 (구허, 여구) 

 

 

 

중도(LR6) ★

 

위치 

종아리앞안쪽면, 정강뼈안쪽모서리의 중앙, 안쪽복사융기에서 몸쪽으로 7촌 

정강뼈안쪽모서리 중앙, 무릎뼈꼭지와 안쪽복사융기를 연결하는 선의 중점에서 아래쪽으로 0.5촌에서 취혈 

음릉천에서 족내과첨까지를 1척 3촌의 골도법으로 산정하여 족내과첨상 7촌으로 경골내측면 중앙의 요함처에 취함 

족내외과첨상 7촌에는 양교, 외구, 하거허, 비양, 중도가 가로선상에 위치 

 

근육: 가자미근, 긴발가락굽힘근, 뒤정강근 

신경: 두렁신경 

혈관: 뒤정강동정맥, 큰두렁정맥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1~1.5촌 (뒤를 향하여 피부따라)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0분 

 

속성 

극혈 

 

주치 

  • 간경의 극혈로서 진통, 지혈 작용이 있어 간담과 관련한 제반 급증 특히 혈증을 주치 
    1. 전염성간염 등 급성 간질환에 활용 
    2. 자궁출혈, 임력불단, 산후오로불절 등에 효과 
    3. 급성 하지통증(족관절통, 슬통, 족위약), 중풍, 반신불수에 효과 
  • 산기, 소복통 

 

 

 

곡천(LR8) ★☆ 

 

위치 

무릎 안쪽면, 반힘줄모양근힘줄과 반막모양근힘줄의 안쪽 오목한 곳, 다리오금주름의 안쪽 끝에서 취혈 

무릎을 굽혔을 때, 다리오금주름안쪽 끝에서 두드러지는 반힘줄근힘줄과 반막근힘줄안쪽의 오목한 곳에서 취혈 

곡천혈 후방에 음곡혈이 위치하고 있으며, 음곡혈은 반막양근건의 위쪽에 있는 반건양근건의 후연 가쪽에서 취함 

(슬내측) 곡천 - 음곡 - 위중 - 위양 (슬외측) 

 

근육: 반막근, 반힘줄근, 넙다리빗근, 두덩정강근, 장딴지근 

신경: 두렁신경, 정강신경 

혈관: 아래안쪽무릎동맥, 큰두렁정맥, 무릎내림동맥 

침법: 직자 0.3~0.8촌 / 사자 1~1.5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20분 

 

속성 

합수혈 

 

주치 

  • 자경보혈로서 간신허로 인한 제반 병증에 임상적으로 활용 
    1. 간경의 수혈로서 비뇨생식기 질환에 상용 
      • 소변 관련질환의 요혈로서 삭뇨, 뇨탁, 뇨도염, 임병에 사용 
      • 부종, 방광결석에 이뇨시키기 위한 주요 혈 
      • 자궁하수(음정출), 음낭수종, 산기에 활용 (+ 음교 곡골 은백 / 사암: 간정격) 
      • 유정, 대하, 음부소양에 사용 
    2. 간경의 합혈로서 간역기, 간양상항으로 인한 제반 병증에 사용 
      • 고혈압, 목현에 유효 
      • 뉵혈, 하혈, 토혈 
      • 신경쇠약, 히스테리 등 정신병 
    3. 요퇴동통(좌골신경통, 디스크) 등 근련성 하지질환 (근위축성 하지질환은 폐경으로 주치
    4. 시력감퇴, 근시, 원시, 내장, 밤눈 어두운 것 등 일절 안 질환 
  • 대장질환(설사, 변비)에 응용 (장부상통) 
  • 오행침법에 사용 

 

 

 

음포(LR9) ☆ 

 

위치 

넓적다리안쪽면, 두덩정강근과 넙다리빗근의 사이, 무릎뼈바닥에서 몸쪽으로 4촌 

근육에 긴장을 준 상태에서 엉덩이를 살짝 굽혀 외전하면 넙다리빗근이 현저하게 드러나며, 넙다리빗근 뒤쪽에서 취혈 

슬개골 상연에서 기충까지 1척 8촌의 골도법으로 산정하여 슬개골 상연 내측상 4촌으로 넙다리빗근과 안쪽넓은근 사이 요함처에 취함 

 

근육: 반막근, 두덩정강근, 넙다리빗근 

신경: 두렁신경 

혈관: 큰두렁정맥, 넙다리동정맥 

침법: 직자 0.5~0.7촌 / 사자 1.5~2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20분 

 

주치 

  • 간신허로 인한 제반 부인과, 비뇨생식기 질환 
    1. 월경불순 
    2. 부인뇨실금(인다산, 성생활과다, 방광허한) 
    3. 불감증 
    4. 불면증, 불안, 우울 
  • 요통, 腰尻인소복통, 산증에 응용 

 

 

 

족오리(LR10) ☆ 

 

위치 

넓적다리안쪽면, 기충에서 먼쪽으로 3촌, 넙다리동맥이 뛰는 곳 

 

근육: 긴모음근, 짧은모음근, 큰모음근 

신경: 넙다리신경, 폐쇄신경의 앞가지 

혈관: 안쪽넙다리휘돌이동정맥 

침법: 직자 0.5~1촌 / 사자 0.5~1.5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0분 

 

주치 

  • 비뇨생식기질환에 활용 
    1. 음낭습양 (+ 팔료, 중극 / 사암: 간정격) 
    2. 소변불통, 유뇨 
    3. 산증, 소복창 
  • 대퇴내전통, 사지부득거에 활용 

 

 

 

급맥(LR12) ☆ 

 

위치 

샅부위, 두덩결합 위 모서리와 같은 높이, 앞정중선에서 가쪽으로 2.5촌에서 취혈 

곡골 양방 2촌에 기충을 정한 다음, 기충 외사하방 0.5촌처에서 취혈 

 

근육: 두덩근 

신경: 넙다리신경, 폐쇄신경의 앞가지, 엉덩샅굴신경 

혈관: 바깥음부동정맥, 얕은배벽동정맥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0.5~1촌 (혈관을 피하여 신중히 자입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5분 

 

주치 

  • 산기, 산후음핵탈출증(뜸 +족삼리)에 활용 
  • 골반동통, 고내측부 동통에 효과 

 

 

 

장문(LR13) ★★ 

 

위치 

옆배, 열한째갈비뼈끝의 아래쪽으로, 옆으로 누워 팔을 미리 위쪽으로 올린 자세에서 취혈 

먼저 열째갈비뼈를 찾은 후, 갈비뼈활 아래모서리 바로 밑에서 열한째 갈비뼈끝을 찾아 취혈 

주첨진처로 주관절의 주첨을 늑간에 대었을 때 팔꿈치가 닿는 부위를 취하며 제11늑골단에 해당함 

제상 2촌의 하완 양방 6촌에 취함 

하완 - 0.5촌 - 상곡 - 1.5촌 - 태을 - 4촌 - 장문 

 

근육: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배가로근 

신경: 열째 갈비사이신경 

혈관: 열째 갈비사이동정맥 

침법: 직자 0.5~0.8촌 (불가심자) / 사자 0.8~1촌 

뜸법: 애주구 3~7장 / 온구 20~50분 

 

속성 

비의 복모혈, 장회혈 

 

주치 

  • 장회혈로서 오장병 특히 비위, 간담의 제반 병증을 주치 
    1. 비의 복모혈로서 비위질환의 주요 활용 혈 
      • 비장종대 등 비장병변의 반응점 및 치료혈 (성장기에 영양실조로 인해 발생하는 어린이의 鼈腹은 현대의 비장비대증에 해당 
      • 위경련의 요혈 
      • 신경성 소화불량, 심계항진 (장명, 장염, 설사 등 제반 소화기 질환) 
    2. 간담 질환의 요혈 (우장문) 
      • 간경화 등 간 질환의 말기 증상에는 일월, 경문, 장문을 삼각점으로 하여 뜸 (좌측 비위, 췌장 / 우측 간담질환) 
      • 황달 
  • 사지무력 
  • 요척냉통, 요통불가전측, 협통, 늑간신경통에 사용 

 

 

 

기문(LR14) 

 

위치 

앞가슴부위, 여섯째갈비사이 공간, 앞정중선에서 가쪽으로 4촌으로, 젖꼭지 중심에서 아래쪽, 불용에서 가쪽으로 2촌에서 취혈 

여성의 경우, 빗장중간선과 여섯째갈비사이 공간이 만나는 지점에서 취혈 

제상 6촌의 거궐혈 양방 4촌(혹 3.5촌)으로 제 6~7늑간에 취함 

거궐 - 0.5촌 - 유문 - 1.5촌 - 불용 - 2촌(혹 1.5촌) - 기문 

 

근육: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배가로근 

신경: 여섯째 갈비사이신경 

혈관: 여섯째 갈비사이동정맥 

침법: 직자 0.2~0.3촌 / 사자 0.5~0.8촌 / 심자금지. 혈의 우측은 간장, 좌측은 비하방에 있어, 모두 위쪽으로 심자할 수 없다. 환자의 기육의 후박에 따라 손으로 완만히 눌러 자입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10~20분 

 

속성 

간의 복모혈 

 

주치 

  • 간의 복모혈로 간담 관련질환의 요혈 (간담질환의 압통처 및 치료혈) (진단시 늑골사이의 통증유무와 함께 간수의 압통유무도 확인함) (실제 간질환 초기증세는 계륵부보다 늑골사이에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복진 시 확인) 
    1. 간염, 담낭염, 간종대, 간경화 등에 효과 (+ 일월) 
    2. 담낭의 괄약근을 자극하여 담즙분비 조절 (담결석 배출 작용) (좌측: 비위, 췌장 / 우측: 간담질환) 
    3. 제반 혈열증의 요혈 
      • 월경이상에 유효 
      • 부인산후제질에 효과 
      • 부인열입혈실(인상한경과)로 인한 하혈섬어에 사용 
      • 정신질환에 응용 (간장혼) 
  • 족궐음, 족태음, 음유맥의 회혈로서 간, 비, 신 부조화로 인한 제반 병증에 사용 
    1. 상한과경불해로 인한 제반 병증을 주치 (복만섬어, 해역흉만, 효천, 기천, 양협동통, 흉배산통) 
    2. 분돈상하, 신장염, 복막염 등에 유효 
    3. 식욕부진, 신경성 소화불량, 구토탄산, 위신경증 등 소화기질환에 사용 (식욕부진이 있는 경우엔 비정격보다 간정격이 보다 효과적) (+ 중완, 족삼리, 내관, 기문) 
    4. 대장질환에 유효 (장부상통) (간병변시에는 통변해야한다)
  • 백혈구 증가작용이 있어 제병증에 응용 
  • 상한병 치료 
    1. 과도한 발한, 방어작용으로 간열 발생 (울결) 
    2. 기문을 자침하여 상한병을 치료 (간실을 사, 오한하여 상진한 것을 치료, 울결하여 섬어하는 것을 치료 등) (사혈)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