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5)
섬유근육통의 한의학적 치료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원인 없이 전신이 골고루 아프고 피곤한 섬유근육통에 대한 논문입니다. 원인도 명쾌한 치료법도 없기 때문에 한의원에 자주 찾는 질병입니다. 먼저 섬유근육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섬유근육통(Fibromyalgia, FM)은 전 세계 인구의 약 2~8%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근골격계 통증 질환으로, 주로 여성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중추신경계의 과민 반응과 관련이 깊으며, 유전적 요인, 신경학적 이상, 스트레스, 감염 등이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광범위한 신체 통증, 피로, 수면 장애, 우울증, 그리고 인지 기능 저하 등이 있으며, 이는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섬유근육통은 미국 ..
우울증을 치료하는 5가지 혈자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누구나 한번쯤 겪었을 우울증에 대한 논문을 가져왔습니다. 우울증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로, 모든 연령대와 인구집단에서 발생하는 흔한 정신 질환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약 4.4%가 우울증을 겪고 있으며, 여성에게서 더 높은 발병률을 보입니다. 우울증은 유전적 요인,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 사회경제적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빈곤, 실업, 사회적 고립 등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또한, 우울증은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기 쉽고, 신체적 건강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오늘 가져온 논문은 우울증 치료에 있어 침술의 효용성을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사용해 분석한 연구입니다. ..
목, 어깨가 아픈데 왜 팔에 침을 놓을까? 한의원에서 침을 맞으러 가면 아픈 부위 말고 자꾸 엄한 곳에 침을 놓는 선생님들이 계시죠? 충분히 효과적인 치료 행위이니, 너무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논문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논문은 목, 어깨 통증에 통증 부위가 아닌 팔에 침을 놔 얼마나 효과적인지 알아보는 연구입니다. 또 어떤 방식으로 침을 놔야 제일 효과적인지도 알아봅니다.  바쁘시다면 아래의 결론과 요약을 참고해주세요.  연구 목적이 연구는 상부 승모근의 근막통증유발점(MTrP)에서 통증 강도와 자극 반응에 대한 침술(Acupuncture, AcP)의 원위(遠位) 효과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연구는 통증 완화와 관련된 다양한 측정치가 원위 취혈 치료 후 얼마나 개선되는지 평가했습니다.   연구 디..
수태양소장경 주요 내용, 혈자리 정리 시동병과 소생병시동병 (기병)목구멍이 아프고, 턱 아래 후두융기 위쪽(함)이 붓고, 목을 돌리지 못하고 어깨가 빠지는 듯하고, 위팔이 끊어지는 듯하다.  소생병 (혈병)귀가 안들리고, 눈의 흰자위 노랗고, 볼이 붓고, 목, 턱, 어깨가 아프고, 팔(위팔, 팔꿉, 아래팔)뒤와 안쪽모서리가 아프다.    수태양소장경 유주와 경근 병증소지와 팔꿈치, 쇄골의 뒷쪽이 아프며 팔 안쪽을 따라 옆구리 아래와 뒷목에 통증이 있으며 견갑골을 돌아 목까지 당기면서 아프며 이중이 울리면서 아프고 턱까지 당기고 눈이 어두워 한참이 지나야 보이며 경근이 뭉치면 근루와 경종이 된다. 경부에 한열이 있는 경우에는 화침으로 거자하는데, 치유되는 정도를 보아 횟수를 정하고 아픈 곳을 자침한다. 중이 된 경우에는 반복하여 첨침으로 자침..
수양명대장경 주요 내용, 혈자리 정리 시동병과 소생병시동병 (기병)치통이 있고 목 앞쪽이 붓는다.  소생병 (혈병)눈의 흰자위가 노랗고, 입이 마르고, 코가 막히고 코피가 나고, 목구멍이 붓고 아프며 무언가 막혀 있는 느낌이 들어 답답하고, 어깨 앞쪽과 위팔부위가 아프고, 집게손가락이 아파서 쓸 수 없다. 기력에 여유가 있으면 이 경맥이 지나는 곳에 열이 나고 붓는다. 기력이 부족하면 추워서 떠는데 회복이 안된다.   수양명대장경 유주 및 경근 병증경근이 지나가는 부위에 전근과 통증이 발생하고 어깨를 들지 못하고 목을 좌우로 돌려 보지 못하게 된다.   대장경 주치- 대장 및 소화기질환: 복통, 복명, 설사, 변비, 치질 등- 폐질환 및 호흡기계질환- 경락 순행부 병증: 안, 이, 비, 구치, 인후, 견비 등- 열, 담으로 인한 정신질환-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