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동병과 소생병
시동병 (기병)
치통이 있고 목 앞쪽이 붓는다.
소생병 (혈병)
눈의 흰자위가 노랗고, 입이 마르고, 코가 막히고 코피가 나고, 목구멍이 붓고 아프며 무언가 막혀 있는 느낌이 들어 답답하고, 어깨 앞쪽과 위팔부위가 아프고, 집게손가락이 아파서 쓸 수 없다. 기력에 여유가 있으면 이 경맥이 지나는 곳에 열이 나고 붓는다. 기력이 부족하면 추워서 떠는데 회복이 안된다.
수양명대장경 유주 및 경근
병증
경근이 지나가는 부위에 전근과 통증이 발생하고 어깨를 들지 못하고 목을 좌우로 돌려 보지 못하게 된다.
대장경 주치
- 대장 및 소화기질환: 복통, 복명, 설사, 변비, 치질 등
- 폐질환 및 호흡기계질환
- 경락 순행부 병증: 안, 이, 비, 구치, 인후, 견비 등
- 열, 담으로 인한 정신질환
- 조습의 부조로 인한 병증
대장경 특정혈
오수혈: 상양(정금), 이간(형수), 삼간(수목), 양계(경화), 곡지(합토)
원락극모수: 합곡(원혈), 편력(락혈), 온유(극혈), 천추(복모혈), 대장수(배수혈)
商陽: 구급혈로 사용
合谷: 기색을 주치함
陽谿: 정신질환과 두통, 이명을 주치함
手三里, 曲池: 두, 면, 견, 완신경통을 주치함
상양(LI1) ★
위치
집게손가락, 끝마디뼈에서 몸가쪽으로 0.1촌.
집게손톱의 노쪽모서리를 지나는 수직선과 집게손톱뿌리를 지나는 수평선이 만나는 지점
근육: 집게폄근
신경: 고유바닥쪽손가락신경, 등쪽손가락신경
혈관: 고유바닥쪽손가락동맥, 바닥쪽손가락정맥, 등쪽손가락동맥
침법: 직자 0.1~0.2촌 / 사자 0.1~0.3촌 / 삼릉침으로 점자출혈
뜸법: 애주구 1~3장 / 온구 3~5분
속성
정금혈
주치
상초열로 인한 제병증, 특히 급성 열병 초기에 구급혈. (혈압관련 제반 병증, 소아경기 등)
소아발열, 일사병으로 쓰러진 경우
구순포진에 응용(+곡지, 노궁, 상하순 사혈) + 아랫이빨신경통, 이롱, 이명에 유효
호흡기계 질환 (특히 콧물감기 초기, 편도염, 매핵기, 인후종통 등)
감기로 인한 하리 (변비도 치료)
혈압 조절 작용
요골신경통
이간(LI2) ★
위치
집게손가락, 둘째 손허리손가락관절 노쪽면의 먼쪽 오목한 곳, 적백육제. 주먹을 가볍게 쥐고 취혈
악권시 제2장지관절전 횡문요측단상의 요함처. 집게손가락 본절전 기절골 저하연 요측.
근육: 벌레근, 집게폄근
신경: 고유바닥쪽손가락신경, 등쪽손가락신경
혈관: 고유바닥쪽손가락동맥, 바닥쪽손가락정맥, 등쪽손가락동맥
침법: 직자 0.2~0.3촌 (침첨에서 노쪽에서 자쪽을 향해 자입) / 사자 0.2~0.3촌
뜸법: 애주구 2~3장 / 온구 5~10분
속성
형화혈
주치
두면부 실열증에 활용 (치통 시 열결, 내정, 태계) (소아발열, 편도선염)
변비 등 대장실증
코피 (+상성, 척택, 위중, 인당)
턱, 목, 견배, 요통에 사용
삼간(LI3) ★
위치
손등, 둘째손허리손가락관절노쪽, 몸쪽 오목한 곳. 주먹을 가볍게 쥐고 취혈
식지 본절후 제2중수골 두상연의 요측
악권시 제2장지관절후 횡문요측단상의 요함처
근육: 벌레근, 집게폄근
신경: 고유바닥쪽손가락신경, 등쪽손가락신경
혈관: 노쪽집게동맥, 바닥쪽손허리정맥, 등쪽손허리동맥
침법: 0.2~0.3촌 (침첨을 요측에서 척측을 향해 자입) / 사자 0.3~0.7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0분
속성
수목혈
주치
치통, 목적, 인통, 복만장명
국부의 수지구급, 봉와불개, 수배홍종에 활용 (후계와 투자)
두면부 열성질환 (소아기침, 해열, 급성폐렴) (매핵기) (목급통, 목적종통, 시물불명) (치통)
좌골신경통, 견배통에 응용 (+이간, 영골혈)
합곡(LI4) ★★★
위치
손등, 둘째손허리뼈 중점의 노쪽
제1중수골과 제2중수골의 수배부 기골간. 약간 제2중수골로 치우쳐서 취혈. 엄지, 집게손가락 펴고 취함
반대쪽 손 엄지손가락 첫번째 마디 내측을 1~2지 지봉선상에 대고 눌렀을 때 엄지손가락 끝이 닿는 곳
엄지손가락과 식지를 붙였을 때 볼록하게 튀어나온 배측골간근의 높은 부위
근육: 첫째 등쪽뼈사이근, 깊은 층에 엄지모음근의 가로갈래
신경: 등쪽손가락신경
혈관: 노쪽집게동맥, 등쪽손허리정맥, 등쪽손허리동맥, 손등정맥그물
침법: 직자 0.5~1촌 / 사자 1~1.5촌 / 두부 및 안면부의 질환에는 중수골의 골막을 따라 1~1.5촌 사자 / 수지의 구련이나 근육의 마비에는 노궁 혹은 후계를 향해 2~3촌 투자 / 임신부는 신중히 사용 (유산 많은 임신부 금침)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5분 / 임신부는 금구
속성
원혈, 사총혈, 사관혈, 음양이총혈, 회양구침혈
주치
기울, 기체로 인한 제병통의 주요혈 (사관혈: 태충과 더불어 기혈순환 증진) (음양이총혈: 삼음교와 함께 안태, 통경)
기색, 기체, 열로 인한 편두정통의 주혈 (합곡, 열결, 족삼리, 내정 순서대로 자침)
전간, 소아구축, 신경쇠약 등에 유효
말초성 구안와사, 삼차신경통의 주요 혈
중풍, 반신불수 주요 혈위. (저혈압: 행간, 내관, 신문, 소료) (고혈압, 두통, 두훈목현, 실면 등) (오래된 질환엔 뜸)
안이비인후치의 제반 병증에 사용.
땀 조절 작용. (+부류혈) (감기로 인한 비색, 무한일 땐 합곡, 도도) (여성 폐경기: 합곡(한), 내관(토), 삼음교(하))
참고
임신부 태기 손상으로 금침 (동의보감)
양계(LI5) ★
위치
손목뒤가쪽면, 손등쪽손목주름의 노쪽, 노뼈붓돌기에서 몸쪽, 해부학적코담배갑의 오목한 곳
긴엄지폄근힘줄과 짧은엄지폄근힘줄 사이에 형성되는 해부학적 코담배갑의 오목한 곳
근육: 가쪽손목곁인대, 긴엄지폄근, 짧은엄지폄근
신경: 노신경의 얕은가지
혈관: 노쪽피부정맥, 노동맥의 등쪽손목가지
침법: 직자 0.3~0.5촌 (침첨을 손등의 노쪽에서 자쪽을 향해 자입) / 사자 0.3~0.7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5분
속성
경화혈
주치
손목염좌, 완관절염 (건측, 직자)
대장경병증으로 인한 주비불거 (+양로)
장의 연동운동 조절작용 (대장정격)
두면의 오관과 질환, 고혈압 관련 제병증에 응용 (+양곡)
이롱, 이명, 목풍적란유예 등에 활용
편력(LI6) ★
위치
아래팔뒤가쪽면, 양계와 곡지를 연결하는 선 위, 손등쪽 손목주름에서 위쪽 3촌
양계와 곡지를 연결하는 선에서 아래로부터 1/4되는 지점에서 취혈
근육: 긴엄지폄근, 긴엄지벌림근
신경: 노신경의 얕은 가지, 가쪽아래팔피부신경
혈관: 노동맥, 노쪽 피부정맥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0.5~1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5분
속성
락혈
주치
소변불리, 뇨폐, 부종, 장명수지 등에 이뇨시키는 혈
진정, 진통 효과 (하치통) (이롱, 이명: 상양 합곡 양계 편력)
비구뉵, 목항
상지통(견비통), 수불급두, 견전주완산동 난굴신, 모지관련 염좌 시 활용 (사십완 오십견)
원락배혈로 폐대장병증 주치 (태연+편력)
온류(LI7) ★
위치
아래팔 뒤가쪽면, 양계와 곡지를 연결하는 선 위. 손등쪽 손목주름에서 위로 5촌
주먹을 쥐고 전완을 회내할 때 완후의 장요측수근신근과 단요측수근신근 부분에 융기되어 사두처럼 되는데 그 부위를 지나 요함처에 취함
근육: 손가락폄근, 긴엄지폄근
신경: 노신경의 얕은가지, 가쪽아래팔피부신경
혈관: 노동맥, 노쪽피부정맥
침법: 직자 0.5~1촌 / 사자 1~1.5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5분
속성
극혈
주치
급성 소화기 병증에 사용. (장염, 복통, 장뇌명) (복창: 곡지, 족삼리, 천추 직자) (심한 설사 또는 열이 있는 만성 설사에 유효) (위경련의 보조혈: 합곡, 태충, 양구, 온류)
치통의 추지. (상양~온류 중에서 반응이 많이 나타나는 혈)
만성구내염, 설염, 면종, 한열두통에 사용.
순부득거, 사지종동에 사용.
부인 심허병, 담병 등에 유효.
수삼리(LI10)
위치
아래팔 뒤가쪽면, 양계와 곡지를 연결하는 선 위, 팔오금주름에서 아래쪽으로 2촌.
곡지 아래 2촌에서 장요측수근신근과 단요측수근신근 사이에 취함.
근육: 손가락폄근, 위팔노근, 손뒤침근
신경: 노신경의 깊은가지, 가쪽아래팔피부신경
혈관: 노동맥, 덧노쪽피부정맥
침법: 직자 0.5~1.2촌 / 사자 1~2촌
뜸법: 애주구 5~7장 / 온구 5~20분
주치
위장 질환의 반응점 및 치료점 (+족삼리)
두면부 질환에 응용 (상초 풍습열증) (면종: 합곡, 수삼리) (비질환: 태계) (편도선염, 인후염: 편도칠점)
고혈압 관련 제반 병증
치통에 사용
상지 요골측에서 오는 신경통, 근육통에 사용
곡지(LI11) ★★
위치
팔꿈치 가쪽면, 척택과 위팔뼈 가쪽위관절융기를 연결하는 선의 중점.
팔꿈치를 완전히 굽혀 손바닥을 반대편 가슴에 댔을 때, 팔오금주름가쪽끝의 오목한 곳.
90도로 굽혔을 때 팔오금주름의 가쪽 끝과 위팔뼈가쪽위 관절융기 사이의 오목한 곳.
근육: 위팔노근, 긴노쪽손목폄근
신경: 노신경, 가쪽아래팔피부신경
혈관: 노쪽되돌이동맥, 노쪽피부정맥
침법: 직자 0.5~1.5촌 / 사자 1~1.5촌 (침첨을 약간 비스듬히 지천을 향하여 자입) / 상지난굴 치료시에는 팔꿈치를 굽혀 약간 비스듬히 팔꿈관절의 안쪽을 향해 자입 / 투자시에는 소해(HT3)를 향해 2~2.5촌을 자입
뜸법: 애주구 5~10장 / 온구 10~30분
속성
합토혈, 보모혈 [십삼귀혈 중 귀퇴혈, 중풍칠처혈, 자경보혈]
주치
열성 발열 병증 (중풍 주요 혈위: 사관 수삼리 족삼리)
피부질환 은진, 양통 (+혈해, 삼음교, 분지상하, 대장정격, 폐정격(아토피))
소화기 병증에 활용
당뇨병(소갈)에 이용 (혈당, 혈소판 재생 조절 작용)
현훈, 두훈을 수반하는 두통에 응용
모든 부인병의 주요 혈위 (월경불순의 상용혈: 삼음교, 음릉천, 조해)
주관절 굴신불리, 상완위과동통에 사용
수오리(LI13)
위치
위팔가쪽면, 곡지와 견우를 연결하는 선위, 팔오금주름에서 위쪽으로 3촌.
앞겨드랑주름 끝과 곡지를 연결하는 선에서 위쪽으로부터 2/3와 아래쪽으로부터 1/3이 되는 지점과 같은 높이.
근육: 어깨세모근, 위팔노근, 위팔세갈래근, 상완근
신경: 아래가쪽위팔피부신경
혈관: 노동맥, 노쪽피부정맥
침법: 직자 0.3~0.5촌 (혈관을 피하여 침첨을 비외면에서 내측면을 향해 자입함. 동맥과 요신경을 다치지 않도록 조심) / 사자 0.5~0.8촌
뜸법: 애주구 3~7장 / 온구 5~20분
주치
상지통증에 유효
경부 임파선결핵, 선염 등 나력에 사용
비노(LI14)
위치
위팔가쪽면, 어깨세모근의 앞모서리 바로 앞쪽, 곡지에서 위쪽으로 7촌
근육: 어깨세모근
신경: 뒤위팔피부신경, 아래가쪽위팔피부신경
혈관: 노쪽피부정맥, 뒤위팔휘돌이동맥, 앞위팔휘돌이동맥
침법: 직자 0.3~0.7촌 / 사자 1~1.5촌 / 안질환 치료시 상향으로 삼각근중에 1~1.5촌 사자 / 횡자시 상완골 전렴에서 후렴을 향해 1~1.5촌 투자 / 견비통 치료시 침첨을 상방으로 견우를 향해 1~1.5촌 횡자로 투자
뜸법: 애주구 3~7장 / 온구 5~20분
주치
견관절 질환 (수양명대장경, 수태양소장경, 족태양방광경 교회처)
침자마졸 상용혈 (+곡지, 소장정격).
피부봉양증 특히 수마진 (견관절 주위의 혈은 피부병에 유효)
안질환에 응용
견우(LI15)
위치
팔이음뼈, 어깨뼈봉우리 가쪽모서리의 앞쪽끝과 위팔뼈큰결절 사이의 오목한 곳.
위팔을 외전할 때, 어깨뼈봉우리의 앞뒤로 두 개의 오목한 곳이 나타남.
어깨뼈봉우리 앞쪽의 보다 더 오목한 곳에서 취혈. (견료는 뒤쪽 오목한 곳에 위치)
팔을 들지 않은 상태에서 견관절의 관절과 삼각근 기시부 전연에 갈라지는 요함처에 취함.
대추 ←2촌→ 견중수 ←2촌→ 견정 ←4촌→ 견우
근육: 어깨세모근
신경: 빗장위신경
혈관: 겨드랑동맥의 어깨세모근가지, 겨드랑정맥
침법: 직자 0.5~1.2촌 / 사자 0.7~1.5촌 / 팔을 아래로 내리고 위팔뼈를 축으로 하여 아래 방향으로 자입함 혹은 팔을 들고 극천을 향해 2~3촌 자입함 / 가시위근건염 치료시는 팔을 내려 어깨뼈봉우리와 위팔뼈큰결절 사이에 수평으로 0.7~1촌 자입함 / 어깨관절주위염에는 견내릉, 견료에 어깨세모근의 방향으로 각각 2~3촌 투자함. 이때 위팔을 외전시켜 직자하면 어깨세모근의 방향으로 투자할 수 있음
뜸법: 애주구 7~15장 / 온구 5~20분
주치
반신불수에 사용하는 주요 혈위
견관절이상에 쓰는 대표혈 (특히 열성병으로 인한 두, 견갑, 전완부의 병증에 효과적)
유방 관련 질환에 사용
치통에 유효
피부병에 활용
거골(LI16)
위치
팔이음뼈, 빗장뼈봉우리끝과 어깨뼈가시 사이의 오목한 곳.
어깨뼈위오목 가쪽에 있는 두 뼈들 사이의 오목한 곳.
견갑극 위쪽 면을 외측으로 미끄러지듯 촉지할 때 견단에서 멈춰지는 부위에 해당함.
근육: 등세모근, 가시위근
신경: 가쪽빗장위신경, 깊은층에 어깨위신경
혈관: 어깨위동맥, 어깨위정맥
침법: 직자 0.3~0.7촌 / 사자 0.5~1촌 (침첨을 약간 외하방으로 향해 자입) / 금침 (침감이 강하면 쇼크 일어나기 쉽다)
뜸법: 애주구 3~7장 / 온구 5~20분
속성
견비불거, 견비통, 견비불가굴신에 활용
천정(LI17)
위치
목앞부위, 반지연골과 같은 높이, 목빗근의 뒤모서리 바로 뒤쪽.
부돌에서 수직으로 아래, 수돌과 수평으로 만나는 지점에서 취혈.
후두융기 외측 3촌에 있는 부돌 하방 1촌에 취함.
후두융기 양방 1.5촌 동맥 부위에 인영이 있고, 인영 외방 1.5촌에 부돌이 있고, 부돌 외방 1.5촌에 천창이 있으며, 천장은 부돌 하방 1촌에서 취함.
근육: 목빗근, 앞목갈비근, 어깨목뿔근
신경: 빗장위신경
혈관: 가로목동정맥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0.5~1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0분
주치
인후두염, 편도선염
설골기마비로 인한 연하곤란, 음식불하에 사용
부돌(LI18)
위치
목 앞 부위, 방패연골 위모서리와 같은 높이, 목빗근의 앞모서리와 뒷모서리의 사이.
인영과 같은 높이로 남성의 후두융기와 같은 높이.
인영 외방 1.5촌으로 흉쇄유돌근 후연이며, 후두융기 정중 양방 3촌에 취함.
턱을 들고 인영을 정하고 여기서 수평선으로 흉쇄유돌근을 넘어서 천창을 정하고, 인영과 천창 중간에 취함.
근육: 목빗근, 앞목갈비근
신경: 목신경얼기의 가지, 큰귓바퀴신경, 가로목신경
혈관: 오름목동맥, 앞목정맥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0.5~1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0분
주치
인후기관지염, 해수천식, 폭음불능언에 환부주위혈로 사용
혈압 관련 제급증에 응용 (저혈압, 고혈압: 인영, 천주)
갑상선수술상용혈 중 하나로서 응용
영향(LI20)
위치
얼굴, 코입술고랑 위, 콧방울 가쪽모서리의 중점
비익 근부 외방 0.5촌처로 비순구중에 취함
근육: 위입술올림근, 위입술콧방울올림근
신경: 얼굴신경, 눈확아래신경의 바깥코가지
혈관: 위입술동맥의 가쪽코가지, 바깥코정맥
침법: 직자 0.2~0.3촌 / 사자 0.5~1촌 (윗방향) / 담도회충증 치료시 사백을 향해 0.5~1촌 투자 / 비질환에는 비도를 향해 투자
뜸법: 금구
주치
일절 비질환의 주요 혈위 (축농증, 비뉵, 비염, 비색, 비치, 무애학증)
구안와사 특히 '면부종양 상여충행'을 수반하는 경우에 유효
배통(+왕화, 사백) 배부에 담이 결릴 경우 효과
'경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소음심경 주요 내용, 혈자리 정리 (0) | 2024.08.17 |
---|---|
수태양소장경 주요 내용, 혈자리 정리 (0) | 2024.08.15 |
족태음비경 주요 내용, 혈자리 정리 (0) | 2024.08.12 |
족양명위경 주요 내용, 혈자리 정리 (0) | 2024.08.09 |
수태음폐경 주요 내용, 혈자리 정리 (2) | 2024.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