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혈학

족태음비경 주요 내용, 혈자리 정리

728x90

시동병과 소생병

시동병 (기병)

혀뿌리가 뻗뻗하고, 먹으면 바로 토하고, 위장부위가 아프고, 배가 부어서 팽팽하고, 트림을 많이 하고, 대변을 보고 방귀가 나오면 곧 상쾌하고 통증이 쇠하는 것 같고, 몸이 모두 무겁다.

 

소생병 (혈병)

혀뿌리가 아프고 몸이 움직일 수 없고, 먹어도 안 넘어가고, 가슴이 갑갑하고, 심장 아래가 갑자기 아프고, 이질이 새고, 소변이 막히고, 황달이 나고, 누울 수 없고, 억지로 서면 넓적다리와 무릎 안쪽이 붓고 차가워지고, 엄지발가락을 움직이지 못한다.

 

 

 

족태음비경 유주, 경근

 

경근의 병증

엄지발가락과 족내과가 아프며 전근하며 무릎안쪽의 전골에 통증이 발생하며 넓적다리 안쪽으로 땅기고 아프며 음기가 뒤틀리듯 아프며 위로 배꼽부위와 양 옆구리까지 땅기고 아프며 가슴과 척추안쪽이 땅기고 아프다. 치료는 화침으로 거자하는데, 치유되는 정도를 보아 횟수를 정하고 아픈 곳을 자침한다. 이러한 병증 충추비라고 한다.

 

 

 

주요 혈자리

공손: 비위기를 조절함

삼음교: 부인과 및 비뇨생식기질환을 주치함

음릉천: 월경부조, 슬관절 질환을 주치함

혈해: 어혈을 주치함

대횡: 대장질환(+ 천추)을 주치함

 

오수혈: 은백(정목) 대도(형화) 태백(수토) 양구(경금) 음릉천(합수)

원락극모혈: 태백(원혈) 공손/대포(락혈) 지기(극혈) 장문(복모혈) 비수(배수혈)

 

 

 


 

 

 

은백(SP1) ★

 

위치

엄지발가락, 끝마디뼈 안쪽, 엄지발톱안쪽뿌리각에서 몸안쪽으로 0.1촌.

엄지발톱의 안쪽모서리를 지나는 수직선과 발톱뿌리를 지나는 수평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취혈.

 

근육: 긴엄지폄근

신경: 등쪽발가락신경

혈관: 고유바닥쪽발가락동맥, 등쪽발가락정맥, 바닥쪽발가락정맥 

침법: 직자 0.1~0.2촌 / 사자 0.1~0.3촌 (침첨을 상향으로) / 삼릉침으로 점자출혈

뜸법: 애주구 3~7장 / 온구 5~20분 / 금구(의학입문)

 

속성

정목혈

 

주치

소상과 더불어 수족정혈 중에서 활용되는 혈로서 소상과 비슷한 효능, 주치 (두면부 및 열성 신경증 등)

고열 특히 소아발열, 경기에 사용 (소아는 식체, 감모를 막론하고 먼저 소상, 은백(사혈), 사관을 사용하면 효과적)

혼수상태, 기절 시 회생혈로 사용

심비적열로 인한 두면부 제반 병증에 효과 (심경과 상접)

맥립종, 악성결막염 등 제반 눈 질환에 효과 (상하안검에 맥립종이 자주 발생하는 것은 비습열이 주요 원인)

비열울체로 인한 순종, 순창, 설종, 중설에 사용 (은백, 소충, 해천, 금진옥액) (비습열은 구취, 혈허는 백태가 발생)

급성위염, 간염, 담낭염, 황달 등 염증성 질환에 유효

십삼귀혈 중 하나로서 신경, 정신계 제반 질환에 활용

정신분열증, 심한 전광증에 침자극은 강하게 하고, 양 엄지발가락을 묶어서 동시에 뜸 (+ 소상)

사려상비, 위중불화(심하만)으로 인한 불면증에 주요 혈위

소아경련, 만성경풍에 주요 혈위 (곽란하여 정신 불안정, 구설 혹은 대설사 후에 잠자면서 자주 놀래는 경우) (내상이 원인일 때 +사봉 / 외감이 원인일 때 +신주, 대추)

제반 비뇨생식기질환, 특히 출혈성 질환을 치료 (+ 대돈, 삼음교, 기해 / 사암침: 비정격)

생리불순으로 인한 월경과다, 자궁출혈, 임력불단(월경이 오래가는 것), 붕루, 자궁경련(뜸)에 사용

토혈, 변혈, 소화기질환이 원인인 백대하(동씨: 해구, 목사?), 야간빈뇨, 남성 정력부족의 보조혈

 

 

 

대도(SP2) ★

 

위치

엄지발가락, 첫째발허리발가락관절에서 먼쪽 오목한 곳, 적백육제

 

근육: 엄지벌림근

신경: 고유바닥쪽발가락신경

혈관: 고유바닥쪽발가락동맥, 바닥쪽발가락정맥

침법: 직자 0.2~0.3촌 / 사자 0.3~0.5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20분 / 부인불가뜸

 

속성

형화혈

 

주치

비허로 인한 황달, 신경성 위장병, 복창만, 구토에 사용 (간사, 대도, 은백, 삼음교)

상하안포여도, 치건봉수에 유효

소아 만경풍, 전근에 사용

기체로 인한 요통불가앙탈, 신중골동에 유효

비경 형화혈로서 비열로 인한 온열병증, 특히 소화기병으로 리열(중소)이 있는 경우에 효과 (+ 은백)

족모지기저의 관절염, 통풍으로 인한 관절통 등에 효과

 

 

 

태백(SP3) ★★

 

위치

발안쪽면, 첫째 발허리발가락관절 몸쪽 오목한 곳, 적백육제

 

근육: 엄지벌림근, 짧은엄지굽힘근

신경: 두렁신경의 가지, 얕은종아리신경의 가지, 고유바닥쪽발가락신경

혈관: 안쪽발바닥동맥의 얕은 가지, 안쪽발목동맥의 가지, 등쪽발허리정맥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0.3~0.5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0분

 

속성

원혈, 수토혈, 공혈

 

주치

비운실조, 비기하함 등으로 인한 일절 소화기계질환을 주치

설사를 수반한 복창, 위통, 토사곽란, 변폐 등 소화불량증에 사용 (일반적으로 위통은 비실증, 설사는 비허증)

장산통(복중절통), 위경련, 장출혈에 유효

체중절통에 유효

신허로 인한 제반 병증에 활용, 특히 요통 (사암: 신정격)

폐경허로 인한 체중절통 (사암: 태백태연보)

사지무력, 마비, 각기, 슬통, 족한 등에 활용.

피로 병증에 배용. 

사려과다로 인한 정신병, 신경쇠약, 불면증, 히스테리 등에 유효

중풍후유증으로 인한 신지불청에 사용

간화상염, 간양상항으로 인한 고혈압, 현훈 (태백 보)

소갈에 응용

원락배혈에 활용 (신중, 권태, 면황, 설홍이동, 복만시시작통, 구토, 설사, 선기이불능식)

 

 

 

공손(SP4) ★★

 

위치

발안쪽면, 첫째발허리뼈바닥의 아래앞쪽, 적백육제.

손가락을 태백에서부터 몸쪽으로 움직이면, 첫째발허리뼈바닥 먼쪽에서 촉지되는 오목한 곳에서 취혈

제1중족골 저부 전하연의 요함처이며, 태백혈 후방 1촌 부위의 적백육제에 취함

 

근육: 엄지벌림근

신경: 두렁신경의 가지, 얕은종아리신경의 가지, 고유바닥쪽발가락신경

혈관: 안쪽발바닥동맥의 얕은 가지, 안쪽발목동맥의 가지, 등쪽발허리정맥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0.3~0.5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0분

 

속성

락혈, 팔맥교회혈

 

주치

내상으로 인한 복부, 소화기질환의 주요 혈위 (+ 내관)

중완이하는 공손, 중완이상은 내관이 위주가 됨. 임상상 내상으로 인한 질환은 내관, 공손을 배혈.

급성위염의 보조혈 (+ 내관, 사관, 족삼리)

위경련(+ 양구), 졸장질환으로 인한 심하부 복통에 사용

곽란에 필용 (건곽란: 선위중사혈 후내관 공손 / 습곽란: 선내관 삼음교 후공손)

미릉골통, 전두통에 유효

황달, 복수, 안면부종에 사용.

비허로 인한 식욕부진, 탈항불수에 배용.

당뇨병에 보조혈.

소변이상, 노인 하초냉으로 인한 야간빈뇨

심장, 충맥의 병에 응용 (팔맥교회혈)

구종심통, 담격연민, 흉중자통, 현기동통, 협륵동통에 사용

고혈압 관련 제반 병증에 사용

족심발열, 족저통에 유효

나력, 부인태의불하, 자궁내막염, 부인기충 등에 응용

원락배혈에 활용(항 경 흉 응 고 퇴 경 행 족과통 발광망언 고가포의이주 등)

 

 

 

상구(SP5) ★

 

위치

발안쪽면, 안쪽복사 아래앞쪽, 발배뼈거친면과 안쪽복사융기를 연결하는 선 중간의 오목한 곳. 

중봉의 뒤쪽, 조해의 앞쪽에 위치. 

안쪽복사 앞 모서리를 지나는 수직선과 아래 모서리를 지나는 수평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취혈.

족내과 전방 함중 전상방에 중봉혈과 사후하방에 조해혈과의 중간 부위에 취함

상구혈은 내번하면 내과 전하방에서 많이 함몰되는 부위이며, 구허혈은 외번하면 외과 전하방에서 많이 함몰되는 부위임.

 

근육: 앞정강근 (경주인대, 전경거인대)

신경: 두렁신경, 안쪽발등피부신경

혈관: 안쪽앞복사동맥, 안쪽발목동맥

침법: 직자 0.3~0.5촌 / 사자 0.5~0.7촌 (횡자시는 침첨을 해계를 향하여 1~1.5촌 투자)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0분

 

 

속성

경금혈

 

주치

탈장, 치루의 요혈 (왼쪽 위주로 뜸)

복명복창, 위무력증, 위하수증, 소화불량, 당가설, 리급후중, 면황, 체권 등에 유효

자궁암, 자궁근종, 월경통 등 여성의 심한 하복통에 사용

소아불안, 귀몽, 소아구축 등 (+ 은백)

신체구급(종아리 경련), 요각내렴동, 각기, 족배종통, 수종에 응용

비병과 폐, 호흡기 질환을 겸한 경우에 효과적

소아백일해, 천해, 설본홍통 및 성음개변

흉막염, 폐결핵 등에 사용

피부백색, 건조증에 유효

신경통, 신경쇠약, 심장병 등에 유효

족관절 국소치료 중심혈로 사용 (발목 염좌 시 해계 방향으로 투자, 구허와 더불어 발목 염좌시 반응이 가장 많이 나타남)

반신불수로 인한 운동부족으로 족지가 밑으로 처지며 족완이 굳는 경우에 응용

 

 

 

삼음교(SP6) ★★

위치

종아리정강뼈면, 정강뼈안쪽모서리 뒤쪽, 안쪽복사융기에서 위쪽으로 3촌. 

교신에서 위쪽으로 1촌 지점에 위치.

족내과첨상에서 일부법으로 경골후연에 취하며, 족외과첨상 3촌에 있는 현종혈과는 맞은편에 있음

족내과첨상 3촌으로 경골과 장지굴근 사이에 취함.

 

근육: 가자미근, 긴발가락굽힘근

신경: 두렁신경의 안쪽종아리피부가지, 깊은층에 정강신경

혈관: 큰두렁정맥, 뒤정강동정맥

침법: 직자 1~1.5촌 / 사자 1~2촌 (부인금침) (족부병 치료 시 약간 후방으로 1~1.5촌 자입) (체간질환 치료 시 침첨을 약간 상향하여 1.5~2촌 자입 또는 현종으로 투자)

뜸법: 애주구 5~10장 / 온구 10~30분

 

속성

비간신 삼경 교회혈 (소화, 생식, 변비)

 

주치

1. 음양이총혈 중 하나로서 제반 혈병을 주치 (합곡, 삼음교)

출산 2주 정도 전 피내침으로 순산, 무통분만을 유도함 (보합곡 사삼음교: 수태, 통경 / 사합곡 보삼음교: 안태)

어혈, 혈대와 관련된 제반 하복통, 산증으로 인한 하복통(+관원)에 응용

어혈로 인한 심통, 요부타박으로 인한 요통, 타박상으로 인한 두통에 사용 (전신의 경우 혈해를 사용)

은진에 유효 (+ 곡지, 혈해)

2. 부인과 및 남녀비뇨생식기병의 활용. 일명 "부인의 삼리혈"로 각종 여성 질환(+ 조해)에 사용. 특히 만성병

음경통, 몽정실정, 산증, 고환염, 신장염, 유뇨, 노림, 전부소변불통 등에 사용.

소화기계 제반 병증에 응용되는 상용요혈 (비위허약, 복명복창, 소화불량, 한냉복통, 당설 등)

소아??, 해수(+ 합곡), 고혈압 등에 사용

족하열통, 슬퇴내렴주과종통에 사용

신경성 불안, 불면, 정충(+ 은백), 장조에 사용

침의 한토하법 중 하법에 해당하는 혈로 하기작용이 발휘 (한법: 합곡, 토법: 내관, 삼음교: 하법) (임신금침혈)

하지내측, 좌골신경통 중 내측에 이상이 있는 경우: 하복부 제반 병증이 원인.

족의 전외후측에 이상이 있는 경우: 요부의 제반 병증이 원인.

 

 

 

지기(SP8) ★★

 

위치

종아리정강뼈면, 정강뼈안쪽모서리 뒤쪽, 음릉천에서 아래쪽으로 3촌.

무릎뼈꼭지와 안쪽복사융기를 연결하는 선위에서 위쪽으로부터 1/3과 아래쪽으로부터 2/3가 되는 지점에서 취혈.

경골내측연과 비복근 사이의 요함처에 취함

 

근육: 오금근, 장딴지금

신경: 두렁신경의 안쪽종아리피부가지, 깊은층에 정강신경

혈관: 큰두렁정맥, 뒤정강동정맥, 무릎내림동맥의 두렁가지

침법: 직자 0.5~1촌 / 사자 1~2촌

뜸법: 애주구 3~7장 / 온구 5~10분

 

속성

극혈, 삼부혈 중 하부에 해당 (삼부혈: 대포(상부), 천추(중부), 지기(하부))

 

주치

삼부혈 중 하나로 전신질환, 특히 중하초 제반 병증에 효과 (간, 비, 신관련)

급만성췌장염 (+ 사관, 족삼리) (소화가 안되면 지속적인 복통이 있다)

위장장애로 인한 복통, 위통에 유효 (위장장애 시 진단점, 치료점으로 지압만으로도 좋다. +양구)

심한 통증을 수반하는 종아리 통증 (+ 삼음교)

식적요통(비수, 위수 압통 시) 주요 혈위 (복벽이 당겨 허리를 펴기 힘든 증세, 소음인에게 다발)

신허요통 시 +태백 / 어혈요통 시 +삼음교 / 식적요통 시 +지기

비허로 인한 모든 하초 제반 질환에 응용

양위, 유정, 남자정부족, 자궁출혈, 월경부조, 백대과다 등 생식기계 질환에 활용

치질에 응용

비운실조로 인한 복창기창, 수종, 신황수, 복견불고식, 남자당설, 여자징가 등

슬종, 퇴부종, 학슬풍종, 나절풍동, 중풍반신불수에 효과적

임파선결핵에 유효 (슬내결핵, 이하에서 양명경을 따라 고환까지 나타나는 결핵, 운비경근발적에 사용)

비허실면, 호와(눕기 좋아함)에 유효

 

 

 

음릉천(SP9) ★

 

위치

종아리정강뼈면, 정강뼈안쪽관절융기 아래모서리와 정강뼈안쪽모서리 사이의 오목한 곳. 

손가락을 정강뼈안쪽모서리를 따라서 몸쪽으로 움직이면 무릎관절 아래에 오목한 곳이 느껴짐.

정강뼈안쪽관절융기의 아래모서리와 정강뼈뒤모서리로 이루어진 각의 오목한 곳에서 취혈.

경골내과 하연으로 경골내연과 비복근 사이의 요함처에 취하며, 양릉천혈과는 맞은편에 있음.

 

근육: 장딴지근 (거위발건)

신경: 두렁신경, 깊은층에 정강신경

혈관: 큰두렁정맥, 뒤정강동정맥, 무릎내림동맥의 두렁가지

침법: 직자 0.5~1촌 / 사자 1~1.5촌 (양릉천으로 투자하기도 함)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3~5분

 

속성

합수혈

 

주치

중년 이상 여성 질환, 혈도병 및 비뇨생식기질환의 주요 혈위 (폐경기, 자율신경실조증, 여성 질환) (현훈, 안구충혈, 흉만) (갱년기장애로 인한 제반 병증(고혈압))

음병에 사용 (여성 질환의 대부분은 울화가 원인)

신경성 위장병, 소화불량, 불면 등에 응용

심, 흉협, 복만 및 설사(+ 곡지, 족삼리), 소화불량 등 소화기 제반 병증에 효과

소변불리, 수종을 치료

체중절통 특히 하퇴(요, 슬, 족)종통질환의 상용혈임

슬종(슬관절염), 각기의 주요 혈위 (+ 족삼리, 양슬안, 학정, 양구, 혈해 / 사암: 간정격)

타박상으로 인한 슬통에 효과적 (+ 족삼리, 양릉천, 태충) (슬내측 통증에 +족삼리) (슬외측 통증에 +절골)

 

 

 

혈해(SP10)

 

위치

넓적다리앞안쪽면, 안쪽넓은근이 튀어나온 곳, 무릎뼈바닥 안쪽끝에서 위쪽으로 2촌.

슬개골 상연 내측 상방 2촌의 대퇴골 내측으로 봉공근 외측연의 내측광근 사이에 취함.

환자로 하여금 바르게 앉아 무릎을 굽히게 하고, 의사의 손바닥을 환자의 무릎에 올려 손바닥을 무릎뼈꼭지 끝에 대고,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이 이루는 각이 45도가 되도록 벌려서, 엄지손가락을 넓적다리 안쪽으로 향하게 하여 무릎 뼈를 감싸듯이 손을 내렸을 때, 엄지손가락 끝이 닿는 곳에서 취혈.

간단한 취혈법으로는 정좌수족하고 손바닥을 슬개골상에 대고 엄지손가락 끝이 슬개골 내렴 상방의 대퇴부 내렴에 닿는 점을 혈해혈로 정하기도 함.

 

근육: 넙다리빗근, 안쪽넓은근

신경: 폐쇄신경, 넙다리신경의 앞피부가지와 근육가지

혈관: 넙다리동정맥, 큰두렁정맥

침법: 직자 0.5~0.8촌 / 사자 1~1.5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5분

 

주치

모든 혈병을 주치함

여성질환 (월경부조, 월경통, 자궁출혈) (+ 삼음교, 지기)

산후 하지부종이 내리지 않는 경우.

어혈과 관련한 제혈병에 사용 (전신타박상에 주요 혈위: + 사관) (허리 이하 염좌 시 + 삼음교)

간과 심의 이상으로 인한 혈병에는 격수혈 응용. 

어혈을 수반한 피부병 (+ 삼음교, 곡지)

슬관절 질환의 환부 주위혈 중 대표적인 혈위

 

 

 

기문(SP11)

 

위치

넓적다리안쪽면, 무릎뼈바닥안쪽끝과 충문을 연결하는 선에서 위쪽으로부터 1/3과 아래쪽으로부터 2/3가 되는 지점, 긴모음근과 넙다리빗근의 사이, 넙다리동맥이 뛰는 곳.

슬개골 상연과 치골상연까지 18촌의 골도법으로 산정할 때 슬개골 상연 내측 상방 12촌으로 봉공근을 지나서 취함.

혈해혈 위 10촌처임. (혈해혈 상방 6촌으로 보기도 함)

 

근육: 넙다리빗근, 내측광근, 내전근, 중간광근, 대퇴직근

신경: 두렁신경

혈관: 큰두렁정맥, 넙다리동정맥

침법: 직자 0.3~0.5촌 (동맥을 피하여 자침) / 사자 0.5~0.8촌 불가심자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5~10분

 

주치

제반 비뇨생식기질환에 활용.

여자의 불감증 치료에 사용. 

소변관련 제반 병증에 사용. (임병, 소변불통)

불면증 치료에 효과적 (+ 음포)

서혜부 임파선부종 치료에 유효.

 

 

 

복결(SP14)

 

위치

아랫배, 배꼽 중심에서 아래쪽으로 1.3촌, 앞정중선에서 가쪽으로 4촌.

기해에서 가쪽으로 4촌, 위쪽으로 0.2촌에 위치.

음교혈 양방 4촌처에서 아래로 0.3촌되는 곳에 취함.

* 맥버니 포인트 인접

 

근육: 배곧은근, 배빗근

신경: 갈비사이신경

혈관: 아랫배벽동정맥

침법: 직자 0.5~1촌 / 사자 0.5~1촌

뜸법: 애주구 3~7장 / 온구 10~30분

 

주치

대장관련 제반 병증에 활용 (변비에 탄자술로 사용: 대거, 복결 두 혈을 만져보아 통증, 근육긴장, 단단함이 느껴지는 경우에 효과적)

상한후유증으로 인한 설사, 비허당사에 사용.

상충요심, 해역, 각기에 사용.

요제복통(복막염), 산통, 양위에 사용.

 

 

 

대포(SP21) ★

 

위치

가쪽가슴부위, 여섯째갈비사이공간, 중간겨드랑선 위옆으로 누워 팔을 외전시켰을 때 중간겨드랑선과 여섯째갈비사이공간이 만나는 곳에서 취혈.

액와(극천혈)에서 계협(11늑골단)까지를 1척2촌의 골도법으로 산정하여 그 중간에 취함.

연액혈 하방 3촌처로 제6~7늑골 사이 함중에 취함.

중정 양방 8촌처(늑골이 끝에서 위로 올라가므로 6~7늑골 사이가 되며, 단 5~6늑골 사이가 아님에 주의)

 

근육: 속갈비사이근, 바깥갈비사이근 +전거근, 광배근

신경: 갈비사이신경, 긴가슴신경

혈관: 가쪽가슴동정맥, 속가슴동정맥의 앞갈비사이가지, 가슴등동정맥

침법: 직자 0.2~0.3촌 (불가심자) / 사자 0.3~0.4촌

뜸법: 애주구 3~5장 / 온구 10~20분

 

속성

비의 대락

 

주치

비의 대락혈로 일신진통(실), 백절진종을 치료함. (위지대락혈: 허리(유근혈))

다한증의 주요 혈위로서 특히 액와부위의 다한증, 액취증 등에 유효

진통의 주요 혈위로서 특히 중증의 만성질환에 유효

류마티스 관절염, 역절풍 등으로 통증이 심한 경우 (+ 예풍, 인영)

심한 천식으로 흉통이 심한 경우 (피내침으로 지속적으로 자극)

암환자의 통증에 진통(뜸)

 

728x90